종정 스님

덤프버전 :

분류

1. 개요
2. 비슷한 직위
3. 역할
4. 목록
4.1.1. 자격
4.1.2. 목록
4.2.1. 목록
4.3.1. 목록
4.4.1. 목록
4.5. 대한불교 총화종
4.5.1. 목록
4.6.1. 목록
4.7. 대한불교 일승종
4.7.1. 목록
4.8. 대한불교 일붕선교종
4.8.1. 목록
5. 창작물에서


1. 개요[편집]


종정(宗正)은 불교 각 종단의 최고 지도자를 가리키는 칭호다.


2. 비슷한 직위[편집]


대한민국 불교 대부분 종단에서 종정을 두고 있는데, 종정이 아니라 다른 이름으로 불리는 경우도 있다. 국내 종단의 경우 총인(總印, 대한불교진각종), 종령(宗領, 불교총지종) 등이 있다.

해외의 불교 지도자 명칭으로는 일본 불교문주, 상좌부 불교승왕 등이 있다.


3. 역할[편집]


최고 지도자라고는 하지만 종정은 대체로 대외 업무를 맡는 상징적 역할로, 실권은 직접 사무를 맡아 보는 총무원장에게 있다. 각 종단에서는 역대 종정의 목록과 함께 역대 총무원장의 목록도 게시하는 경우도 많다.


4. 목록[편집]



4.1. 대한불교조계종[편집]





한국불교 최대 종단인 대한불교조계종에서 종정은 종단의 신성을 상징하며, 종통을 승계하는 최고의 권위와 지위를 가진 자리다. 자세한 것은 대한불교조계종 종헌 중 '제 6 장 종정' 참조. 칭호는 예하.

현 조계종 종정은 15대 성파 스님이다#

조계종 종정의 임기는 5년이며 1차에 한하여 중임이 가능하다. 원로회의 의원, 총무원장, 호계원장과 중앙총회의장이 추대한다. 추대를 위한 회의는, 현 종정의 임기 만료 3개월 전 혹은 유고 시에, 원로회의 의장이 소집한다. 재적 과반수 이상의 찬성을 얻은 사람이 종정으로 추대된다.


4.1.1. 자격[편집]


종헌 20조에 의거
  • 승납 45년 이상
  • 연령 65세 이상
  • 법계 대종사

4.1.2. 목록[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조계종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4.2. 한국불교태고종[편집]


조계종과 한 뿌리에서 나온 한국불교태고종 역시 종정을 두고 있다. 태고종 종정의 임기는 5년이며 연임이 가능하다.
2022년 7월 지허스님이 건강상 이유로 사임한 이후 공석이다.


4.2.1. 목록[편집]


대수법호법명속명임기비고
1대한암(漢巖)중원(重遠)방중원(方重遠)1941. ~ 1945.
1세석전(石顚)영호(映湖)박한영(朴漢永)1945. ~ ?
2세한암(漢巖)중원(重遠)방중원(方重遠)
3세만암(曼庵)종헌(宗憲)송▨▨(宋▨▨)? ~ 1954.
4세
5세묵담(默潭)성우(聲祐)국▨▨(鞠▨▨)1957. 1. 16. ~ ?
6세
7세
8세법운(法雲)진종(振宗)
세영(世榮)
박대륜(朴大輪)1970. 5. 9. ~ ?태고종 분리
9세
10세묵담(默潭)성우(聲祐)국▨▨(鞠▨▨)
11세
12세보성(寶城)정두석(鄭斗石)
13세덕암(德菴)안흥덕(安興德)1986. ~ 1993.
14세백암(柏巖)우효생(禹孝生)1993. 9. 14. ~ 1994. 4. 28.임기중 입적
15세보성(寶城)정두석(鄭斗石)1994. 6. 22. ~ ?
16세덕암(德菴)안흥덕(安興德)1998. 12. 15. ~ ?
17세덕영(德永)혜초(慧草)최태영(崔太永)2004. 6. 14. ~ 2009. 6. 1.
18세2009. 6. 1. ~ 2014. 4. 1.
19세2014. 4. 1. ~ 2019?
20세지허(指墟)지용(智溶)2020. 7. 15. ~ 2022. 7. 12.


4.3. 대한불교천태종[편집]


대한불교천태종의 종정스님의 임기는 종신제이다. 종정스님이 열반전에 수행능력을 보고 차기 종정으로 지목을 하면 지목된 스님이 차기 종정스님으로 추대가된다.


4.3.1. 목록[편집]


대수법명법호속명임기비고
초대상월(上月)원각(圓覺)박준동(朴準東)[1]1966. 9. ~ 1974. 6. 17.
2대대충(大忠)남익순(南益淳)1974. 7. 2. ~ 1993. 9. 3.
3대도용(道勇)김영춘(金永春)1993. 12. 22. ~


4.4. 대한불교관음종[편집]


대한불교관음종 종법 제6장에 따르면 관음종에서는 고려국 의천 대각국사를 종조(宗祖)로, 태허 대종사를 개산조(開山祖)로 한다. 종정의 임기는 5년으로 추정. 서울의 호법원에 종정추대위원회가 설치돼 있다.

2010년 마지막 종정의 입적 이후 종정의 자리가 오래도록 비어있었으나 2022년 6월 7일 새 종정이 추대됐고# 7월 14일 종정 추대 법회가 봉행됐다.#


4.4.1. 목록[편집]


대수법호법명속명임기비고
1세태허(太虛)홍선(泓宣)1965. 6. 3. ~ 1979. 7. 17.
2세백상경조1979. 11. ~ ?
3세? ~ ?
4세철운종현1988. 1. 15. ~ 1989. 3.
5세운호대천1989. 11. 10. ~ 1998. 12. 4.
6세운공혜운1999. 10. 26. ~ 2000. 11. 9.
7세남천죽산2003. 11. 19. ~ 2009. 3. 6.?
8세2009. 3. 6. ~ 2010. 11. 23.
9세영선홍파2022. 7. 15. ~


4.5. 대한불교 총화종[편집]


대한불교 총화종 종법 제3장에서 규정하는 바에 따르면, 총화종 종정은 총화종의 대표로 법계(法係)를 잇고 상징으로서 시봉(侍奉)하는 대상이다. 종정은 상징으로서 종단을 대표하고, 종회에서 인준한 각 원장들의 임명권이 있으며, 승니(僧尼)·종도(宗徒)에 대한 포상권을 갖는다.

임기는 5년으로 유고시 2개월 내로 보궐선거를 치르며, 종정을 추대할 권한은 종회에 있다.


4.5.1. 목록[편집]


대수법호법명속명임기비고
1대추강(秋岡)최득연(崔得淵)
2대
3대설호(設호)변설호(卞雪호)
4대금담(金潭)이장호(李章鎬)
5대
6대치옹(治翁)전복개(全卜介)종정서리
7대철운(鐵雲)조대순(趙大順)
8대금담(金潭)이장호(李章鎬)
9대치옹(治翁)전복개(全卜介)
10대벽담(碧潭)김상진(金相鎭)
11대치옹(治翁)전복개(全卜介)
12대동광(東光)이영희(李泳熙)
13대
14대
15대남정(南亭)이영호(全榮鎬)
16대
17대


4.6. 대한불교보문종[편집]


대한불교보문종 종헌 제6장에 따르면 보문종의 종정은 종단의 신성을 상징하며 계승하는 최고의 권위와 지위를 가진다. 보문종 종정은 임기가 따로 없는 종신직이다. 원로회의에서 인준한 원장들을 임명하거나 신자들에 대한 상벌을 행할 수 있는 점은 다른 종단과 같다.

보문종이 비구니 종단이므로 역대 종정은 당연히 전원 여성이며, 한국 불교 종단을 통틀어 찾아보기 어려운 여성 종정이 전부 이 종단에서 나온다.

4.6.1. 목록[편집]


대수법호법명속명임기비고
제1대설월(雪月)긍탄(亘坦)1972. ~ 1980.
제2대한산명주1980. ~ 1986.
제3대청호일조1986. ~ 1990.
제4대청원혜안1990. ~ 2005.
제5대효광혜일2005. ~ 2013.
제6대지암대인2013. ~


4.7. 대한불교 일승종[편집]


대한불교 일승종 종헌 제7장에 따르면 일승종 종정은 종통을 계승하며 신성불가침하다. 종정의 임기는 5년이며 중임이 가능하다. 일승종의 경우 종정의 모든 권한 행사는 반드시 총무원장을 거쳐야 한다고 종헌 24조에서 명시하고 있으며, 그 아래 25조에는 해종(害宗) 행위를 한 종정을 중앙종회에서 탄핵할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


4.7.1. 목록[편집]


대수법호법명속명임기비고
초대혜정(惠正)최호민(崔浩敏)1969. 1. 20. ~ ?
묘익(妙翊)
화보(華菩)
순도(淳道)
월봉(月峰)
범호(梵虎)
9대덕인묘종(妙宗)2000. ~ 2003?


4.8. 대한불교 일붕선교종[편집]


재단법인인 일붕선교종에도 종정이 있다. 일붕 서경보 스님이 초대 법인 이사장으로 종정을 겸했고, 그 이후로는 이사장과 종정이 따로 임명돼 운영되고 있다.


4.8.1. 목록[편집]


대수법호법명속명임기비고
초대일붕(一鵬)서경보(徐京保)1991. 9. 27. ~ 1996. 6. 25.
2세붕해현기홍1997? ~ 2002?
3세연종2002. ~ 2005?
4세붕해현기홍2005. ~ 2011?
5세정각2011. ~ 2018?
6세혜월원각2018. ~


5. 창작물에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7 06:44:42에 나무위키 종정 스님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또는 박준각(朴準角).